[스크랩] 산딸기 산 딸 기 남성 신기부족에 산딸기가 약 복분자는 장미과에 속하는 복분자 딸기와 산딸기 나무의 열매를 말린 것이다. 복분자 딸기는 우리나라 중부 이남의 산에서 자라고 산딸기 나무는 전국의 산에서 자란다. 간경·신경에 작용한다. 기운을 돕고 몸을 가볍게 하며 머리 털이 희어 지지않게하고 눈을.. 건강관련/한의학 2006.09.22
[스크랩] 한국의 비아그라..야관문 천연 비아그라 추천 0 스크랩 0 [te] 2004-07-07 02:20:28 야관문(夜關門)은 밤에 빗장문을 열어 주는 약초라는 뜻이니 그 이 름이 묘하다. 야관문은 흔한 풀이다. 새로 찻길을 닦느라고 깎아낸 비탈 같은 곳에 무리지어 자란다. 옛사람들은 이 풀을 꺾어서 묶어 빗자루로 쓰기도 했다. 그러나 이처럼 흔하고 천.. 건강관련/한의학 2006.09.22
[스크랩] 살구씨의 효과 살 구 씨 의 효 과 살구씨는 행인(杏仁)이라하며, 폐의 섬약이라 한다. 대장을 깨끗이 씻어주고, 해수, 천식, 기관지,폐에 특효가 있다. · 폐병, 해수, 천식, 담혈, 백일해, 감기등에 말린 살구씨 볽아, 갈아서, 꿀을 넣고 찐다음 하루 세번씩 술갈로 떠서 먹으면 좋다. 머리가 멍하고, 정신이 몽롱.. 건강관련/한의학 2006.09.22
[스크랩] 홀아비꽃대 홀아비꽃대 Chloranthus japonicus 과 명 : 홀아비꽃대과 분포지 : 전국의 산지 개화기 : 4~5월 결실기 : 10월 용 도 : 식용.약용 산지의 그늘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하나의 꽃자루가 촛대같이 자라므로 홀아비꽃대라고 한다. 높이는 20~30센티미터이고, 뿌리와 즐기가 옆으로 뻗으며 마디에서 돋은 줄기는 .. 건강관련/한의학 2006.09.22
[스크랩] 소변으로 본 건강상태 하루에 우리 몸에서 배출되는 소변의 양은 얼마나 될까? 그 양은 1~1.5L정도 된다. 소변은 99%가 물이다. 나머지 1%는 몸에서 사용이 적혈구가 파괴되어 생긴 색소와 노폐물이다. 소변을 볼 때는 색깔, 냄새, 거품을 살핀다. - 소변의 색이 분홍색, 적색일 때 신장에서 만들어진 소변이 방광과 요도를 거쳐 .. 건강관련/한의학 2006.09.21
[스크랩] 약먹지않고 감기 퇴치 약먹지 않고 감기 물리치는 법 식보가 약보보다 낫다는 말이 있듯이...... 평소 영양가 있는 음식을 고루 섭취하면 감기에 잘 걸리지않으며 치료도 빠르게 된다. 예로부터 우리나라 사람들이 ‘잘 먹고 잘 쉬는 것’을 감기에 제일 좋은 약으로 여긴 것도 이 때문. 요리연구가 안승춘씨는 “감기에 걸렸.. 건강관련/한의학 2006.09.21
[스크랩] 유익한 민간 요법 알아두면 유익한 민간요법 ☞ 지방간, 혈중지방에 겨울 굴이 아주 좋다 간기능이 파괴되어 GOT, GPT가 높으면 매우 위험한데, 겨울의 바닷굴은 아주 좋은 치료식이다. 그 원리는 조혈(造血)과 정혈(精血)인데, 굴은 양쪽 다 강하게 작용하며 특히 철분, 망간, 미네랄군, 아미노산, 글리코겐, 타우린 등이 .. 건강관련/한의학 2006.09.21
[스크랩] 산나물 백과 산나물 백과]약이되는 웰빙 山나물 그효능을 알고 먹으면 효과 백배 초롱꽃과 다년생초 산지 다소 그늘 진 곳에서 자생하며 줄기 끝이 여러개로 갈라져 각기 한 두 송이 종과 같이 초롱꽃이 보라빛이나 흰꽃(흰모시대)으로 핀다. 어린 싹은 나물로 무치고, 뿌리를 약재로 쓴다. 뿌리를 봄, 가을로 캐서 .. 건강관련/한의학 2006.09.21
[스크랩] 뇌졸증 예방에 좋은 오미자 원액만들기~~~오미자 활용법 릴로 먼저 생오미자는 아무때나 아무데서나 살 수가 없습니다. 집에서 오미자 원액을 직접 담고 싶으신분은 9월 20일 이후부터 10월초까지 인터넷을 통해 생오미자를 주문하시면 됩니다. 1.생오미자가 준비가 되면 오미자를 깨끗히 헹구어 냅니다.꼬투리나 작은 풋알갱이는 들어가도 안들어가도 상관.. 건강관련/한의학 2006.09.21
[스크랩] 술 종류별 숙취 해소법 행복한 가을 늘 행복한 맘으로 ... 늘 사랑하는 맘으로 . 늘 미소짓는 하루를 보내세여~! *술 종류별 숙취 해소법* 숙취의 증상과 마신 술의 종류, 신체상태 등에 따라 적절한 해소법을 선택하면 증상도 효과적으로 완화시키고 건강증진에도 도움이 된다. 집에서도 간단하게 처방이 가능한 한방 숙취해.. 건강관련/한의학 2006.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