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차>
Ⅰ. 序言 1
Ⅱ. 東洋學 槪說 3
1. 동양학의 기본 개념 3
2. 중국의 전국시대의 道家 3
3. 北宋時代의 理氣二元論 3
4. 기는 사물을 낳는 바탕 도구 4
5. 주희의 성과 형체 구분 4
6. 理와 氣의 관계 4
7. 道․理․氣․器의 관계 4
8. 기의 작용과 변화원리 5
1) 太極理論 5
2) 陰陽論 6
3) 四象論 6
4) 八卦論 6
5) 五行論 6
9. 동양학의 학문적 실태 및 영역 7
Ⅲ. 東洋學에서의 인간관 9
1. 성리학에서의 인간관 9
1) 성리학관 9
2) 인간관 10
(1) 인륜의 실현자 10
(2) 주체적 인간 10
(3) 이상적 인간 - 성인 11
(4) 군자와 사대부 11
2. 주자학에서의 인간관 12
1) “性卽理”로서의 인간관 12
(1) 理氣宇宙論 12
(2) 人性論 14
2) 居敬․ 窮理에 의한 人間形成論 15
(1) 格物致知 15
(2) 居敬 15
Ⅳ. 東洋科學에서의 인간관(인간모형) 15
1. 周易八卦人 15
1) 離卦人 16
2) 坎卦人 16
3) 坤卦人 16
4) 乾卦人 16
5) 巽卦人 17
6) 팔괘인의 분류 17
2. 五行人 17
1) 오행인의 개념 17
2) 오행인 상호간의 관계 18
3. 氣의 屬性에 의한 分類 21
1) 동양과학의 근본개념인 기의 개념에 입각 21
2) 기의 청탁에 따라서 결정 21
3) 부귀 귀천 생사 수요 화복은 기에서 부여받은 것 21
4) 기의 맑음과 탁함 아름다움과 추함이 진화할 수 있다 22
4. 四象體質 22
1) 太陽人 23
2) 太陰人 23
3) 少陽人 23
4) 少陰人 24
Ⅴ. 東洋學에서의 인간관의 상호관계 24
1. 인간모형 24
2. 동양과학에서의 기의 개념 25
3. 주역팔괘인 25
4. 오행인 26
5. 사상체질 27
6. 대인관계에서도 사상체질을 활용 28
7. 사상체질 한계 28
8. 오행인이 사상체질보다 더 객관적이다. 29
9. 주역팔괘인과 오행인과의 관계 29
Ⅵ. 結語 29
“동양학에서의 인간관”
Ⅰ. 序言
일반적으로 사회현상과 자연현상을 설명하는 개념과 이론은 지금까지 거의 서양 과학적인 것에 의존해 온 것이 현실이다. 그러다 보니까 동양적인 것의 기본이 되는 음양오행론에 의한 개념과 이론을 제도권에서는 거의 비과학적이고 미신 시 해왔다고 본다.
동양의 전통적 사상이나 과학을 논한다면 氣를 빼놓고는 얘기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런데 그 氣가 구체적으로 무엇이냐고 하면 명확하게 답을 하기가 어렵다. 그러나 그 氣가 어떻게 작용하느냐 하고 물으면 그 답은 오히려 간단하게 나온다는 것이며, 그것은 陰陽五行이다.
음양오행설은 단순히 음과 양 또는 수화목금토로 유별하는 배당이론론이기보다는 구체적 사물을 인식하는 방식인 것이며, 오행설은 사물의 기본적 성질, 즉 사물이 바뀜을 일으킬 때에만 나타나는 성질을 잠정적으로 분류하려는 것이다.
陰陽五行說은 수천년전 현명한 선인들이 자연현상을 관찰하는 가운데 歸納해낸 오묘한 원리로써 일종의 자연현상을 해석하는 사상체계와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과학이란 사물을 이해하고 설명하는 개념과 이론이 논리적이고 체계화된 지식을 의미한다.
그런점에서 단편적이고 체계적이 아닌 상식과 다르다. 그리고 이러한 개념과 이론에 입각하여 미래를 예측하고 그 예측결과가 바람직하지 못할때는 처방을 제시하여 인간이 원하는 결과가 되도록하는 것이 과학을 하는 목적이다.
이때에 개념과 이론이 실증적으로 입증이 되어 구체적이고 객관화되고 재현가능성이 높은 것일수록 보다 과학성이 높다고도 한다. 이런점에서 볼 때 일반적으로 자연과학이 사회과학 보다는 앞섰음은 누구나 인정하는 사실이다. 그러나 실증적으로 입증이 되지 않았다고 항상 비과학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고 본다. 실증적으로 입증이 되지 않고 객관화 되지 않았다 해도 개념과 이론이 논리적으로 체계화되어 있어서 배우고 가르칠 수 있어 모든 사람에게 전수가 가능하면 과학적 지식이라고 볼 수 있다.
과학적 지식의 우열은 객관성 재현가능성 보다는 현실적합성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즉 어떠한 과학적 지식을 현실적으로 적용했을 때 현실에 적합하여 예상하고 의도했던 효과와 결과가 나오느냐의 정도가 그 과학적 이론의 가치를 결정한다고 본다.
실제로 의도하고 예상했던 결과나 효과가 나타날수록 그 과학적 이론의 적실성이 높아 보다 발달된 과학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과학적 지식이란 개념과 이론이 논리적으로 체계화가 되어 있으면 객관성 실증성보다는 適實性에 더 가치를 인정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고 본다.
카프라는 현대의 과학과 동양의 신비사상의 서로 다른 접근법이 한쪽으로 포괄하는 일도 없고, 한쪽으로 환원되지도 않는 서로의 상호작용, 그것이야말로 아주 필요하다고 현대의 과학과 동양의 신비사상의 합일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동양학도 엄연한 과학이다. 동양학도 그 나름의 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하는 개념과 이론 및 접근방법이 있으며 이들간의 관계도 논리적으로 체계화되어 있고 또한 그 이론에 입각하여 예측을 하고 처방을 내린다는 점에서 나무랄데 없는 과학적 지식일 뿐만아니라 현대 서양과학의 목적과도 일치한다. 다만 실증적으로 객관화하여 현대 서양분석과학적으로 왜 그런가를 밝히기가 어려울 뿐이다. 그것도 서양과학적으로 밝히기가 어려울 뿐이지 동양과학적으로는 설명이 되고 이해가 된다. 이점에 대해서 Carl G. Jung은 중국문화의 최고의 원류이며 동양과학의 원전인 周易과 관련하여 동양과학의 특징을 잘 설명해주고 있다.
즉 易의 세계는 우리들 서양의 과학적=인과율적 세계관과 완전히 다른 것을 갖고 있다. 그것을 비과학적이고 비합리적이라고 터부시할 것이 아니라 우리들의 과학적 원리와는 전혀다른 易의 과학성을 인식해야 된다고 하여 융은 소위 인과원리만으로는 포착할 수 없는 생의 현실을 자각적으로 포착하려는 노력으로 비인과율인 공시율의 개념을 제시하고 있다.
이것은 동서과학간의 개념과 이론 및 어프로치가 다를뿐 과학적 지식이라는 점에서는 차이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금까지 제도권의 서양과학을 하는 사람들의 동양과학에 대한 인식과 평가는 거의 이러한 태도로 일관되어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동양과학에 대한 가치를 재인식하고 이에 대한 연구를 본격적으로 하려는 운동이 나타나고 있으며 대표적인 것이 서구의 양자역학자들을 중심으로한 신과학운동을 들수 있다.
本槁에서는 동양학의 전반적인 개념과 이론체계를 개괄적으로 고찰하고, 동양학에서의 인간관을 동양과학의 이론에 입각하여 살펴보도록 하고자 한다.
Ⅱ. 東洋學(科學) 槪說
1. 동양과학의 기본 개념중 가장 기본이 되는 개념은 道․理․氣․器의 개념이다. 동양과학에서 가장 기본적인 전제는 모든 우주만물의 근원을 氣로 보았고 氣의 작용에 의하여 모든 만물이 생장소멸하는 것으로 보았다. 즉 현상계에 있는 모든 존재 또는 기능의 근원이 氣라는 것이다. 곧 氣는 존재물을 구성하는 구극극미의 원자적인 요소이며, 뿐만 아니라 기는 생명의 근원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생명체는 기가 聚合된 것이다. 그래서 자연계의 만물의 생성 변화 소멸도 결국은 氣의 동정이지 다른 것은 아니다. 그리고 인간의 정신기능을 지배하는 마음의 활동도 기의 작용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요컨대, 물질․생명․마음의 三界는 모두 氣의 소행이지 다른 것이 아니다. 즉 돌이 돌로서 존재하는 것은 돌의 기가 모여서 거기에 있는 것에 다름 아니다. 낮과 밤이 순행하고 사철이 변동하는 것은 낮과 밤의 기, 춘하추동의 기 활동 때문이다. 물론 인체도 기의 취적물, 생명 활동은 기의 소행, 기능조차도 기의 소행 이외의 아무것도 아니다.
2. 중국의 전국시대의 道家는 道를 우주의 본체로 여겼으나, 또한 “천하는 하나의 기로 통한다.”는 관점도 있었으니, 도와 기의 二元論의 경향을 지니고 있었다고 말할 수 있다. 도와 기에 관한 이원론을 주장한 後漢의 왕부의 潛夫論 本訓을 보면 천지의 온갖 사물은 모두 원기가 변화되어 생성된 것이지만 道 또한 氣의 뿌리이다. 道는 제1본체이며 기는 제2본체이다. 도가 없으면 기가 생성될 수 없고 기가 없으면 도가 변화를 일으킬 수 없다.
3. 北宋時代에 이르러서는 理氣二元論이 언급되었다.
理는 천지 만물의 공통된 理 즉 太極이고 無極이다. 그리고 無極, 太極, 사물의 理는 理로서 정립되고 陰陽의 氣, 五行의 質, 萬物의 形은 또한 氣로서 종합되어 주자의 우주론은 결국 理氣二元論으로 綜合된다.
理는 形而上學의 道요 氣는 形而下의 器이다. 만물이 생겨날때는 반드시 이 이를 품수받은 연후에 성을 갖게 되고 또 이 기를 받은 연후에 형체를 갖게 된다.
修己之學적 성격과 治人之學적 성격은 주자의 理氣論에 있어서 단순히 통합된 것이 아니라 일원적으로 조화되어 있다.
여기에서 理란 생성허고 생성하는 이치를 말하며 기의 원리를 가리킨다. 그래서 이치를 궁극적인 본체로 여겼고 氣는 그 다음으로 여겼다. 정이의 이치 관념은 실제로 고대 도가의 도 관념의 형태이지만 도 관념에 비해서 더 순수하다.
4. 결국 이란 한 사물로 하여금 그 사물이 될 수 있게 하는 존재 근거이며 바로 그 사물의 내재 원리가 되는 것이며 기란 곧 어떤 구체 사물의 존재를 결정하는 외재형식을 말한다. 그러므로 리는 사물의 궁극적인 본체이므로 사물을 낳는 근본이다. 그러나 이치만 가지고 사물을 낳을 수 있는 것이 아니고 기가 있어야 사물을 낳을 수 있다. 그래서 기는 사물을 낳는 바탕 도구이다.
5. 또한 주희는 성과 형체를 구분하여 둘로 보았는데 성은 이치에 근원하고, 형체는 기에 근원한다. 이치는 기의 원인 또는 원리이다. 기는 형체와 모습이 있지만 기의 원리인 이치는 소리도 없다는 것이다. 즉 형체와 모양이 있는 것은 물질적인 기이고, 물질적인 것의 원리가 되는 것은 도이다.
6. 이러한 리와 기는 실제로 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서로 떨어지지 않으나 두 개다. 즉 우주에 이치 없는 기는 없으며, 기 없는 이치도 없다. 이치와 기는 분명히 두 개의 존재이지만 사물의 입장에서 보면 두 존재는 서로 섞여서 각각의 장소에 나누어 있을 수 없다. 그러나 두 존재가 각각의 한 존재라는 사실이 손상되지는 않는다.
7. 이상의 글에서 보는 바와 같이 道․理․氣․器의 관계를 정리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물의 형상이 있기 전의 것을 도라 하고, 형상이 갖추어진 이후의 것을 도를 담아 놓은 그릇이가 한다.
여기서 기란 일정한 형체를 갖춘 개물을 말한다. 이것은 기의 취합체이지 다른 것이 아니다.
도란 <노자>에서 말하는 것처럼 무형무상하면서 개물을 개물이게 하는 존재의 근거 도는 현상의 배후에 있으면서 온갖 현상을 일어나게 하는 원인이다.
形의 上下라는 것은 현상수준에서의 상대적인 위치관계가 아니다. 어디까지나 존재론적인 논리구조를 표현한 것이며, 개물과 현상이 있는 한은 그 존재를 존재이게 하는 배후의 어떤 무엇인가가 있는 것이어서 양자는 相卽不離의 관계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송대 유학에서는 도에 갈음하여 理가 형이상자로서 세워졌다.
결국 기는 물질적인 실체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 요소를 의미하고 이것이 형상을 이루면 氣라하며, 기의 작용 변화하는 보편적 법칙 원리를 도 또는 리라 할 수 있다.
8. 기의 작용과 변화원리를 나타낸 구체적이고 기본적인 이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먼저 동양사상의 동양철학 그리고 동양과학의 가장 기본적이고 기본이 되는 것이 太極理論이다. 주역에 “역에 태극이 있으니 이것이 兩儀를 낳고 양의가 사상을 낳고 사상이 팔쾌를 낳는다”라고 하였으니, 역은 一生二法의 원리에 의해서 이루러졌음을 알 수 있다. 즉 만물의 근원인 태극이 한 번 동하고 한번 정한 것이 ‘양기’이고, 이 음과 양이 서로 교합하여 사상을 낳고, 사상은 다시 팔쾌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먼저 태극은 만유의 본바탕으로서 만물이 나오고 들어감이 모두 이로 말미암이다. 태극은 시공의 이치가 내포되어 있으니, 만물을 모두 포함한다는 공간적인 뜻과, 처음부터 끝까지를 포함하는, 즉 태초부터 궁극에 이르는 시간적 뜻이 함께 있다. 태극과 관련된 개념으로 太極圖說에서 “무극이 곧 태극”임을 주장하였으니 이는 태극 이전에 무극이 있음을 강조하였다기 보다는 태극의 무한한 이치를 말한 내용으로 보인다. 무극은 뜻 그대로 중심이 없어 頭尾를 잡을 수 없고, 한획의 둥근 상으로 공허하여 始終이 없는 태극의 모체이다. 태극은 상하의 극점을 중심으로 하여 한 획을 이루니 始終이 분명하고 하나로 말미암아 두밭(陰陽)이 좌우로 형성되어 一生二의 이치가 나타난다.
태극도설을 더 자세히 설명하면, 無極이면서 태극이다. 태극이 動하여 陽을 낳고, 動이 그하면 靜하여지는 것이니, 정하여 陰을 낳게 한다. 정이 極하면 다시 動한다. 이와 같이 한번 動하고 한번 靜하는 것이 서로 근본이 되어 陰과 陽으로 나누어져 兩儀가 성립되는 것이다.
陽이 변하고 陰이 화합하여 수․화․목․금․토를 낳아서 五氣가 차례로 베풀어지고 斜時가 운행된다. 오행은 하나의 음양이며, 음양은 하나의 태극이고, 태극은 본래 無極이다. 오행이 나오는 데 있어서는 각각 그 性을 하나씩 가지게 된다.
무극의 眞과 二五의 精氣가 오묘하게 화합하여 응결된다. 乾道는 남성을 이루고 坤道는 여성을 이루는 것이다. 二氣가 교감하여 만물을 化生하게 되며, 만물은 나오고 또 나와 변화가 무궁하다.
하늘의 道를 세워 음과 양이라 하고, 땅의 도를 세워 부드러움(柔)과 굳셈(剛)이라 하며, 사람의 도를 세워 어지러움(仁)과 올바름(義)라고 한 것이다. 또 시초를 찾아서 알고, 다음에 종말로 돌아오는 까닭에 죽음과 삶의 의미를 알게 된다로 하였으니, 위대한 것은 易이며 이것은 또한 지극한 것이다.
2) 둘째 陰陽論 이다. 양의는 두 가지의 양태(거동이나 모습)를 뜻하는 것이니, 태극이 한 번은 양이 되고 한번은 음이 되는 시간성과, 태극이 음양으로 나뉘었다는 동시적인 공간성을 포함하는 말이다. 즉 양의는 태극의 양과 음의 두가지 양태로써 실제적인 운동을 하니 양의 경청한 기운이 위로 올라 하늘의 體를 이루고, 음의 중탁한 기운이 안으로 엉겨 땅의 形을 갖추어 천지가 창조되며, 음이 변해 양이 되고 양이 化해 음이 되는 순환 과정으로 낮과 밤 나아가서 四時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음양론은 자연계의 모든 사물을 음류와 양류로 나누고 이들간의 관계 즉 相互依存 相互消辰 相互轉化와 相互對峙의 관점에서 보는 이론이다.
3) 셋째, 四象論이다. 음양이 태극으로부터 분화한 후 다시 再變하여 나온 것이 사상이다. 즉 양의를 본체로하여 양으로 분화된 것이 태양이고 음으로 분화된 것이 소음이며, 양의를 본체로하여 양으로 분화된 것이 소양이고 음으로 분화된 것이 태음이다. 그 상의 성격을 보면, 태양은 견실하니 강건불식하고, 태음은 공허하니 유순안정하며, 소음은 내실외허하니 상진하여 생장하고, 소양은 내허외실하니 下入하여 수축한다. 이를 작용면에서 사시로써 설명하면 소음은 안의 양이 자라는 상이므로 봄(아침)이요, 태양은 양이 자라서 마침내 극성한 상이므로 여름(낮)이며, 소양은 안의 음이 자라는 상이므로 가을(저녁)이요, 태음은 음이 자라서 마침내 극성한 상이므로 겨울(밤)에 해당한다.
4) 넷째, 八卦論이다. 태극의 양의가 되고, 양의가 사상이 되고, 사상이 팔괘를 이룸으로써, 변화의 기본과정이 이루어진다. 그 분화하는 방법은 이분법이나 三變으로 완성하여 삼재를 이루니, 역은 음양과 삼재를 기본 바탕으로 하는 것이다. 사상에서 분화한 것이 팔괘이므로 팔괘는 그 분화된 體를 따라 사상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팔괘는 우주만물의 음양운동의 상징이기 때문에 우주의 만사만물은 모두 태극과 팔괘에 종합정보가 존재한다. 팔괘의 종합정보법칙은 미시적 세계이든 거시적 세계든 모든 곳에서 구체적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5) 다섯째, 五行論이다.
(1) 오행설은 우주 삼라만상간에 운행하는 元氣로써 만물을 낳게 한다는 五種의 元素 즉 木․火․土․金․水 五種物質의 운동과 상호작용으로 우주의 모든 현상과 만물의 생존을 관찰하여 설명한 일종의 사상체계이다.
(2) 중국의 태극도설에 의하면, 우주의 본체를 태극이라 하고, 거기에는 음과양 두가지의 기가 있고, 거기에서 목화토금수 다섯가지의 기가 생기고, 그러한 것들의 배합에 의하면 우주 만물이 생성된다는 것이다. 즉, 오행은 만물을 구성하는 다섯 가지의 기본적인 원소로써 이들의 상호연관을 통해서 정체와 사회, 인생과 자연의 각 방면에서 일어나는 현상의 변화를 설명하는데 집중되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삼라만상을 목화토금수의 오대범주로 귀납시켜서 오행학설을 성립시키는데, 이 학설은 사물의 계통성을 파악하는데 있어서나 사물에 내재한 연계성을 반영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3) 오행설의 특징
木은 生辰 昇發의 특성을 가지고 있고, 火는 炎熱上向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土는 농작물을 심고 만물을 生化하는 특성이 있고, 金은 肅殺變革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수는 濕潤, 下向, 寒冷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
(4) 오행설은 우주 안에 모든 사물은 다섯 가지의 원소의 상호작용․상호변화에 의하여 구성된다고 보았다. 이들 다섯 가지의 원소간의 관계를 相生․相剋․相乘․相侮라는 개념으로 나타내고 있다. 오행의 상생․상극관계는 각종의 사물 사이에는 相互資生과 相互制約의 관계가 존재한다고 봄으로써 전체 자연계가 하나의 연결된 전체라고 본다. 즉 “生中有克”과 “克中有生”이 있다고 한다. 이는 만약 일방적으로 서로 낳아주는 상생만이 있고 억제하는 상극이 없으면 정상적 평형이 유지되지 못할 것이며, 또 억제하는 상극만 있고 낳아주는 상생만 없다면 만물의 번식이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생상극은 모든 사물이 평형을 유지하기 위해서 없어서는 안될 두가지 중요한 조건이다. 그리고 오행관계의 상극상모관계는 실제로는 비정상적인 상황 아래서의 상극현상을 의미한다.
9. 동양학은 학문이 유기적으로 체계화 되어 있지 않고 산만하며, 모두가 부분적으로 자기의 관심영역에서만 교육 연구되고 있다.
제도권에서는 주역의 철학적 측면만 연구하는 관념적, 추상적, 형식적 연구에 치중하고 있으며, 비제도권에서는 상업적 목적을 위한 역술 중심의 무질서하고 산만하게 이루어지고 있어서 학문적 발전을 위한 체계화가 필요하다. 특히 동양학은 모두 주역에서 비롯되며, 우주삼라만상에 대한 모든 정보와 변화이치를 주역이 포괄하고 있으며, 주역은 동양학의 기초학문이며, 모든 경전의 최고를 넘어서 천지와 귀신의 비밀이 숨어 있는 학문이다.
동양과학의 이론체계는 크게 2대계통으로 나눌수 있다. 즉 태극 음양 사상 팔괘이론과 태극 음양 오행이론으로 나누어 볼수 있다. 두 이론체계는 태극 음양론 까지는 일치하나 하나는 사상팔괘로 나눠지고 다른 하나는 오행으로 분화 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결국 동양과학의 이론체계는 사상팔괘이론과 음양론으로 나눠 볼 수 있다. 중국의 도학신론에서 동양과학에 두 개의 이론체계가 있다고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결국 동양과학의 이론체계는 사상팔괘론과 오행론으로 크게 분류할 수 있으며 이 두 이론체계는 서로 어떤 관계이고 개념이 어떻게 다른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사상과 오행의 관계를 語句的 관점에서 보면, 사상이라는 4자는 사각형이란 뜻과 같아서 규격이 확실하고 부동성적인 것을 의미하며. 象자는 物形象이라는 뜻과 같아서 그것 또한 고정적인 것의 의미를 갖고 있으므로, 四象이란 부동적으로 4면이 구비된 물체와 같은 그 형상의 분리성을 위미한다. 그리고 五行이라는 5자는 4자에 비해 원형적이고 변동적인 뜻을 갖고 있으며, 행자는 사상의 상자와 대비되는 자로서 하나의 고정된 물상을 말하는 것이 아니고 무형의 변동적인 성질을 의미한다. 즉 오행은 自然運動의 성질적 분별상을 나타낸 것이다. 다시 말하면 사상은 외적이고 오행은 내적이며, 사상은 유형을 말하는 것이고 오행은 성질을 말하는 것이며, 사상은 정적이고 오행은 동적인 의미가 있다.
결국 四象은 우주삼라만상을 형상에 따라서 4가지로 분류하는 것에 강조를 한 이론체계이고, 오행은 우주만물간의 상호작용에 초첨을 둔 이론체계라고 볼 수 있다. 오행에서도 물론 만물의 형상의 관점에서 다섯가지로 분류도 하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오행간의 상호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전제로 행해진다고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동양과학의 기본개념중의 기본은 물질정신적인 것의 기본인 기의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우주삼라 만상의 생성 소멸 및 변화작용을 기의 작용으로 본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기의 작용에 의해 나타나는 우주만물의 생성 소멸 및 변화작용의 기본법칙과 원리를 도와 리라고 하였으며, 기기 어떠한 도나 리의 작용에 의해서 나타난 구체적인 형체를 기라는 것이다. 그리고 기의 구체적인 형생과 작용을 나타내는 이론체계에는 주역에서 비롯된 태극 음양 사상 팔괘 이론이 있고, 또한 하도 낙서와 홍범구주에서 비롯된 오행론이 있다.
Ⅲ. 東洋學에서의 인간관
1. 성리학에서의 인간관
1) 성리학관
(1) 율곡은 공맹에 의하여 탄생된 유학의 정통을 회복한 사람이 程子라고 생각하고 있다. 그러므로 그에게 있어 성리학이란 수기치인의 실현을 구현하기 위한 근거로서 性理를 정밀하게 밝혀나가는 것일 뿐이므로 실천이 없는 성리학이란 있을 수 없다. 따라서 그가 생각하는 성리학은 二氣, 心性등의 이론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토대로 한 도덕성의 실천과 그것의 연장으로서의 경세까지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성리학의 이론탐구는 실천을 위한 근거일 뿐 이론만을 위한 학문이란 있을 수 없다고 보는 것이다.
(2) 성리학이란 ‘성인이 되기 위한 학문’이며 ‘성왕이 되기 위한 학문’으로서의 성학이다. 이와같이 성리학이란 수기를 근본으로 하여 정치, 사회적인 실천에까지 이르러야 함이 그 본령이라고 보아 특히 이점을 강조할 때는 道學이라고 부르기를 좋아한다. 즉, 도학이란 개인적인 측면에서는 인격의 완성이오 사회적인 측면에서는 왕도의 실천이니, 이런 실제적인 공효가 있을 때 비로소 도학이라고 부를 수 있게된다.
(3) 조선조 성리학자들은 인격완성과 왕도실현의 근본을 의리라고 생각했다. 또한 유학은 불교와 비교해 볼 때 현실 속에서 실제적인 징험이 가능하며, 현실을 긍정하면서 이상을 추구해 나간다는 점에서 실학이라고 하였다.
(4) 학문이란 단지 책을 많이 읽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格物, 致知, 誠意, 正心의 효과가 실제로 있은후에야 학문이라 말할 수 있다.
(5) 율곡은 수기론으로서의 爲己之學과 治人論으로서의 經世學을 다 포함하는 것이야말로 유학의 본래 모습이라고 보기 때문에 이를 正學이라고도 한다.
(6) 성리학은 현세치중적이며 실제성을 중시하는 공자맹자의 본원유학을 그
뿌리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런 유학의 본래입장을 벗어날 수 없다.
(7) 율곡이 생각하는 정학이란 유가 본래의 수기치인 지학으로서의 학이다. 따라서 그의 학문틀은 위기지학과 경세학이라는 양측면을 일관된 원리 속에 포섭하는 것이다. 그는 “성인의 도는 自善에 그치고자 함이 아니라 장차 나의 선을 미루어 다른 사람에게까지 미치고자 함이다.”라 하여 경세가적인 그의 성향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실천의 근본은 어디까지나 위기지학이다.
(8) 위기지학이란 다름아닌 기질의 치우친 바를 변화시켜 본연의 선으로 되돌아가게 하려는 것이다. 그러므로 대학의 致知는 객관적인 경험지에 대한 추구가 아니라 치지로써 내 마음에 있는 본연의 선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니, 학문을 통해 새로운 지식을 더 보태는 것이 아니라 이미 있는 것을 온전하게 하려는 것이라고 하여 단순한 지식추구로서의 학문을 부정하였다.
(9) 율곡은 경서나 읽고 저술이나 하는 것을 도학이라 할 수 없다고 하여 학문보다 의리의 실천에 도학의 근본이 있음을 강조하였다. 이런 점이 경세가로서의 율곡의 특징이라고 할수 있다.
2) 인간관
(1) 인륜의 실현자
가. 율곡의 인간 이해 가운데 가장 기본적인 것은, 인간은 인륜 속에서 살고 있는 존재이므로 인륜을 실현해 나가지 않으면 안된다는 것과 현실적으로 불완전한 인간이지만 스스로 가변의 주체로서 완전함을 실현할 수 있다고 보는 점이다.
나. 성리학은 도불의 영향을 받아 실천 중심의 유학으로부터 존재론, 심성론, 수양론에 걸치는 이론적인 토대를 확립하였지만, 이러한 이론들의 근본에는 유학이야말로 인륜에 토대를 두고있는 수기치인지학이라는 신념이 언제나 깔려있기 때문이다.
다. 이상적인 인격으로서의 군자나 성인의 모습은 현실을 떠나지 않으면서 자신을 지켜나갈 수 있는 존재라야 한다. 그래서 홀로 그 자신만을 깨끗이 지켜나가려는 은자는 자신만을 위하여 인륜을 버린 것이라 할 수 있다.
(2) 주체적 인간
가. 율곡은 인간이 본래 선하다고 했으나, 문제는 인성이 보내 선하다고 해서 현실적으로 저절로 선이 실현되는 것은 아니라는데 있다. 본성 자체는 선하지만 현실적인 인간의 모습은 선 그대로가 아니다.
나. 본성자체의 純善과 수양의 필요라는 양면적인 모습을 그는 성리학자답게 이기론적으로 설명하였다. 즉 理로서의 본연지성은 선하지 않음이 없으나 氣質之稟으로 인한 淸濁粹駁의 차이로 인해 不善이 있게 된다는 것이다.
다. 天理는 인간이 필요에 의해서 만들어낸 개념이거나 단순히 관념적인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실리라고 표현한다. 인간은 天地의 실리를 벗어날 수 없다. 그러므로 盡人事하면서 待天命해야 한다는 것이다.
(3) 이상적 인간 - 성인
가. 성인이란 유가에서 생각하는 궁극적인 이상으로서의 인격을 표현한 말이다. 유가의 궁극적인 이상으로서의 인격은 다만 그 본성을 충분히 실현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성인은 능히 자기의 본성을 다할 수 있고 또 다른 사람의 본성까지도 다하게 할 수 있는 자라고 한다.
나. 성인과 凡人은 그 본성과 목표에 있어 동일하므로 군자나 현자, 학자는 다만 아직 성인의 단계에 도달하지 못했을 뿐이다. 배움을 통하여 성인이 되는 학문이라는 학문관을 계승하여 율곡은 神妙不測의 성인도 결국 이 學文의 결과일 뿐이다.
다. 本然之性은 사람마다 선하지 않음이 없으나 기질을 稟賦받은 것에 고르지 못함이 있으므로 하늘이 성인을 내어 그로 하여금 다스리고 가르치게 하여 그 본성으로 돌아갈수 있게 하였다. 성인이란 능히 자기의 본성을 다하고 또 다른 사람의 본성을 다하게 할 수 있는 자이다. 자기의 본성을 다하였으므로 明德이 자신에게서 밝게 되고, 다른 사람의 본성을 다하였으므로 明德이 천하에 밝게 된 것이다.
라. 성인은 사람들을 다스리고 가르쳐서 그들로 하여금 기질의 차이를 극복하고 본연의 善性으로 돌아갈 수 있게 하려는 자이며, 이처럼 단지 自修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에게까지 그 功效가 미쳐가야 하기 때문에 군사의 地位가 아울러 요구된다는 것이다.
(4) 군자와 사대부
가. 유가에서 인간의 궁극적 이상으로 내세우는 존재는 물론 성인이지만 현실 속에서 이러한 성인을 希求하며 그 가르침을 따르려고 노력하는 사람을 君子라고 한다.
나. 율곡에 따르면 은자는 자수에 지나쳐 그 뜻을 고상하게 하여 나아가지만 하고 돌아올 줄을 모르는 사람이다. 반면 군자는 나아가거나 물러나 은둔하는 것에 모두 바름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등용이 되면 도를 행하고 등용되지 못하면 도를 자신에게 감추어 둔다.
다. 은자가 비록 불의와 타협하지 않는 장점은 있으나 自守에 지나쳐 인륜을 무시하게 되었다는 점이 비판의 포적이 되는 것이다.
라. 군자는 율곡에 의해 현인, 현자, 학자, 선비(士)등과 혼용되기도 한다. 특히 선비란 군자와 바로 대치될수 있는 이상적인 인격의 모습으로 나아가면 도를 행하고 물러가면 의를 지키는 사람이다.
마. 율곡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선비는 유가 본래의 수기치인의 도를 이룬 자이며 이런 道學之士야말로 眞儒라 할 수 있다고 한다.
바. 율곡은 선비의 역할을 크게 둘로 나누어 조정에서 왕을 보필하는 것과 아래로 풍속을 바로잡는 것을 제시했다. 그런데 선비가 이러한 제 역할을 하지 못했을 때 이상정치의 실현을 기대할 수가 없다. 그러므로 올바른 선비의 모습을 확립하기 위해 선비에 대한 올바른 교육과 적절한 등용 그리고 현자에 대한 적절한 예우 등이 필요하며 이것이 바로 정치의 근본이 된다는 것이다.
2. 주자학에서의 인간관
1) “性卽理”로서의 인간관
(1) 理氣宇宙論
가. 理
① 理의 어의 및 출전
理의 의미는 玉으로 王을 다듬는다는 동사적인 의미
理는 단순히 나누다는 동사적 의미만이 아니라 玉에 갖추어져 있는 옥의 본래성에 맞는 실천적 행위를 하는 것으로 존재와 실천의 일체와된 개념으로 이해된다.
‘변화하는 사물’ 중의 ‘변화하지 않는 것’을 인식하는 것에서 시작하며, 외부사물에서 이 불변적 요소가 바로 理이다
② 物의 理, 事의 理
무릇 천하의 일에는 사람이 마땅히 해야하는 것이 있다. 그 당위는 또한 ‘만사를 명확히 이해함으로써 자기의 명과 分에 부여된 의무를 실천하는 것’이다.
사물의 이치는 변화하는 사물의 본질, 즉 존재원리이고, 일의 이치는 일에 갖추어져 있는 실천원리이다. 일의 실천원리로서 理를 추구한 것은 治人之學적 전개과정에서 나타난 사상적 패턴이다.
③ 太極 : 天地萬物의 공통된 理
사물의 理는 본시 자기의 본성을 인식하기 위하여 추구된 것이다. 그리고 그 궁극적인 목적은 性이 곧 천명이라는 것을 인식함으로써 天人合一을 이룬 성인이 되는 것이다.
태극은 한편으로 동정이 없는 소극적 존재로서, 다른 한편으로는 운동성이 있는 만물을 생성하는 작용을 가진 적극적 존재로서 해석된다.
④ 理一分殊
천지만물을 총괄하여 말하면 하나의 理이고, 이 理가 사람에게 미치면 또한 각기 하나의 理가 된다.
理一分殊라는 정이의 설을 인용하여 천지만물을 총괄하는 하나의 理가 사람 각각의 理가 된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나. 氣
① 氣의 字義와 思想史的 意味
주자의 기론은 만물의 근원을 논하는 것이 아니라 만물이 물질적인 것을 형성하는 요소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말하자면 음양, 오행, 만물이 모두 기의 내용이 된다.
② 陰陽五行
陰陽이 變合하여 水, 火, 木, 金, 土를 낳는다. 음양은 氣이고 오행의 質을 생성한다. 천지가 만물을 생성함에 五行을 유독 우선하였다.
음양오행의 작용에 의해 생겨나는 것이 소위 만물이다. 주자는 만물의 형성원리에 관하여 성을 주로하여 음양오행이 서로 얽혀진다.
다. 理氣二元論
理는 천지 만물의 공통된 理 즉 太極이고 無極이다. 그리고 無極, 太極, 사물의 理는 理로서 정립되고 陰陽의 氣, 五行의 質, 萬物의 形은 또한 氣로서 종합되어 주자의 우주론은 결국 理氣二元論으로 綜合된다.
理는 形而上學의 道요 氣는 形而下의 器이다. 만물이 생겨날때는 반드시 이 이를 품수받은 연후에 성을 갖게 되고 또 이 기를 받은 연후에 형체를 갖게 된다.
修己之學적 성격과 治人之學적 성격은 주자의 理氣論에 있어서 단순히 통합된 것이 아니라 일원적으로 조화되어 있다.
(2) 人性論
가. 性論
① 주자에 의하면 天은 自然, 命은 流行하여 사물에 부여된 것, 性은 만물이 얻어 생성된 것, 이는 사물마다의 존재원리인데 종합적으로 말하면 天은 理, 命은 性, 性은 理이다.
② 주자는 하늘이 음양오행으로 만물을 화생하고 기로써 형체를 이루면 이가 또한 거기에 부여된다. 천지는 만물을 낳는 것을 마음으로 삼는다.
③ 주자는 善은 動, 性은 靜이다. 여기서 선과 성의 선후 관계는 주자에 의하면, 천지의 입장에서 보면 善이 먼저이고 性이 나중이지만 인간의 입장에서 보면 性이 먼저고 善이 나중이다.
④ 이가 있은 후에 이 기가 있고 이 기가 있으면 반드시 이 이가 있게 된다. 다만 품수받은 기가 맑은 자는 성인이 되고 현인이 되니 마치 보배로운 구슬이 맑은 물에 있는 것과 같다.
⑤ 학문의 도는 잃어버린 적자지심을 찾는 것이다.
⑥ 학문을 하는 것은 기품을 변화시키기 위해서이다
나. 情論
① 주자에 의하면 情은 性의 發露이다. 사람의 본래성으로서 움직이지는 않는 것이 성이고, 이 성이 움직이면 정이 된다. 심은 성과 정을 총괄하는 것이며 욕은 정에서 비롯된 것이다.
② 심이 물이라면 고요한 물은 性, 흐르는 물은 情, 물의 파란이 慾이다. 이 파란에는 좋은 것과 좋지 않은 것이 있는데 욕에도 좋은 것과 좋지 않은 것이 있다. 좋은 것은 인을 위한 욕일 욕일 때의 욕이며, 좋지 않은 것은 파도와 같이 물결쳐 날뛰는 욕이다.
③ 주자는 滅情論을 비판한다. 정을 긍정하는 경우 문제가 되는 것은 정의 조절과 사회질서의 정립등이다.
다. 心統性情論
① 주자에 의하면 ‘性이 太極이라면 心은 陰陽이다. 태극은 단지 음양의 안에 있어 음양과 떨어질 수가 없다’라고 한다. 태극이 음양 가운데 있기 때문에 분리 할 수 없듯이 성은 당연히 심 가운데 있으므로 분리 할 수 없는 것이다.
② 志란 마음이 가는 곳이니, 곧바로 반듯하게 가는 것이다. 意는 또한 志가 경영하고 왕래하는 것이니, 저 志의 다리이다. 무릇 경영하고, 헤아리고 도모하고 왕래하는 것은 모두 意이다.
2) 居敬․ 窮理에 의한 人間形成論
(1) 格物致知
窮理의 대상이 되는 理는 사물의 理와 事의 理의 양면으로 파악된다.
주자는 一事一物의 理에서부터 천하만물 공통의 理를 인식하는 과정에 하나의 비약적 단계를 설정하고 있다. 一物의 理, 一事의 理를 하나하나 궁구해 가다 보면 어느날 갑자기 天地萬物의 理로 관통하는 데에 이른다는 것이 곧 格物이고 致知이다.
(2) 居敬
敬에 의한 수양법은 誠의 실천에 의해 性을 회복한다고하는 적극적인 수양법과 情을 滅하여 慾을 없앰으로서 性을 회복한다고 하는 소극적인 수양법이 통합되어 있다.
性의 실천과 滅情, 無慾이 居敬으로 종합된다고 본다. 居敬은 본래 수양법이고 格物致知는 우주론을 전개하면서 제출된 파생적인 것으로 이해할수 있다.
Ⅳ. 東洋科學에서의 인간관(인간모형)
1. 周易八卦人
주역팔괘인은 주역팔괘의 8가지 사물의 속성에 입각하여 인간을 나눈 것이다. 주역팔괘는 팔괘로 나뉘어져 있지만 실질적으로 오행의 속성을 지니고 있다. 즉 리괘는 火性에 속하고 해에 해당하기 때문에 火의 성질을 지니고 있다. 감괘는 수성에 속하고 태괘는 연못에 해당하기 때문에 감괘와 태괘는 부드러운 수의 성질을 지닌다. 진뇌 손풍은 모두 목에 속하고, 곤 간괘는 모두 토에 속한다. 건괘는 하늘로서 금의 성질을 지닌다. 이 때문에 팔괘인을 총괄하면 5종류의 인간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1) 離卦人
離卦人은 주역팔괘의 리괘의 성질을 닮은 인간형을 말한다. 리괘의 성격은 주역 설괘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불과 해를 상징한다고 하였듯이 하늘의 화의 기운을 지녔다. 또한 역 리괘 단사에서 리괘는 걸려 있다는 뜻이니, 해와 달이 하늘에 붙어 있다고 하였는데, 이것은 곧 태양이 높이 매달려 있어 사방을 고루 비춘다는 것을 말한 것으로 그렇기 때문에 리괘와 같은 성질을 지닌 사람은 태양의 빛과 열을 받아 반드시 양의 성질이 왕성하고 화기원이 충분하게 된다.
2) 坎卦人
坎卦人은 주역 설괘전에서 “ 감괘는 물을 상징한다고” 한 것처럼 하늘에 있는 수기운을 지니고 있어서 성질이 매우 부드럽다. 감은 물이고 물은 아래로 가라 앉는 성질이 있어서 감괘인은 매우 내성적이다. 따라서 감괘의 기질을 지닌 사람은 음이 많아 성질이 고요하며 마음이 비교적 깊다. 또 모색하기를 잘하고 지략이 뛰어나서 참모가의 소질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종류의 사람은 수기를 비교적 많이 지니고 있어서 물의 성질은 감추어 안으로 들어가려는 성질이 있어서 속하는 사람은 음이 많아서 밖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3) 坤卦人
坤卦人는 땅을 상징한다. 그래서 곤괘인은 토기운을 지니고 있어서 성질은 음성적이고 기질은 너그럽고 유순하다. 곤이 토의 기질을 지니고 있어서, 저장하여 드러내지 않는 기능을 지니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때문에 곤괘인은 기본적으로 내성적인 성격에 치우친다. 주역에 “곤의 두려움이 만물을 실음은 덕이 끝없음에 합하고” 象에서는 “군자가 이를 본받아서 두터운 덕으로 만물을 싣는다”고 하였으므로 곤괘인은 관용적이고 너그럽고 정성스럽고 침착하며 겸손하고 공손한 것이 성격적 특징이다.
4) 乾卦人
건괘는 하늘을 상징한다. 하늘은 金기운을 지니고 있으므로 성질이 강건하고 굳세고 바르다. 주역 설괘전에서는 건괘는 하늘을 상징한다고 하였으며, 건괘에서는 “크도다 건의 원이여 만물이 이에 힘입어 비롯되나니 이에 하늘을 다스린다”라고 이를 표현하였다. 그래서 건의 기질을 지닌 사람은 대다수가 마음이 관대하고 넓으며 멀리보는 시각이 풍부하고 침착하고 중후하며 스스로 자제할 줄 알며, 조직력이 강해서 지도자의 소질이 있다. 이런 기질의 사람은 가슴이 하늘처럼 광할하고 성질이 강직하고 스스로를 강하게 하려고 노력하며 쉬지 않는다.
5) 巽卦人
손괘는 바람을 상징한다. 손괘는 목에 속하고 바람의 성질을 지녔다. 바람기운은 만물을 흩어주며 목의 성질은 질서정연하다. 또 바람은 움직임을 주관한다. 그래서 이 형의 사람은 움직이길 좋아하고 성질이 급하고 민첩하고 재능이 있으며 생각이 영특하고 빠르며 바깥일을 좋아해서 외교가의 소질이 있다. 손괘인은 항상 분주해서 흡사 바람과 같다. 또 바람의 성질은 잘 변하므로 손괘인은 확고하지 못한 경우가 많다.
6) 이상 팔괘인은 상술한 다섯 가지로 분류된다. 나머지 艮․兌․震 3괘는 모두 위에서 열거한 5괘안에 포함된다. 간괘인의 체형은 곤괘인에 속하는데 간괘는 산을 의미하며 오행으로는 토에 속한다. 태괘는 못을 상징하며 오행으로는 수에 해당한다. 辰卦는 움직임을 의미하며 오행으로는 목에 해당한다. 이러한 팔괘인은 이론상은 전형적인 모형을 의미하나 실제적으로는 단순 혹은 전형적인 어떤 한 괘의 성질을 지닌자는 지극히 적고 대다수가 교차적으로 섞여있고 복합적으로 상호 혼합된 형이 나타난다. 그러므로 한 사람의 괘형을 판단하려면 전체적인 면을 고려해야 한다.
2. 五行人
1) 오행인의 개념
(1) 동양의학의 最高 最古의학경전인 황제내경 영추의 음양25인 제64에서 음양오행설에 입각하여 인간을 다섯가지 유형인 목화토금수형으로 나누고 있다.
“천지사이에 있는 만물은 모두 오행의 법칙에 따라 다섯가지로 분류하고 사람이라고 예외일 수 없으며..... 먼저 다섯가지 형의 금목수화토로 분류하고.... 목형은 머리가 작고 얼굴이 길며, 화형은 머리가 작고 얼굴이 뾰족하며, 토형은 머리가 크며 얼굴이 둥글고, 금형은 머리가 작고 얼굴은 각이 졌으며, 수형은 머리가 크고 턱이 넓다”라는 말이 있다.
(2) 이상의 황제내경의 인간 오행인형을 근거로 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의학적 연구와 형태적 특징을 제시한 학자들을 보면, 한국의 김춘식, 장동순, 그리고 미국의 다이어그램 그룹이 있다. 이들의 연구 발표한 내용에 의하면 오행인의 성격적 특징과 행태적 특징이 오행의 각 속성과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또한 각 형은 동양의학의 장상론의 장부 오행도의 내용과도 일치한다. 즉 목형은 인체장부중 목에 해당하는 간담의 기능이 상대적으로 좋고 강하며 그에 비해서 오행의 상승상모관계에 의하여 토와 금에 해당하는 비위장과 폐대장의 기능이 상대적으로 약하다. 수형은 화에 해당하는 심소장의 기능이 상대적으로 좋고 강하며 그에 비해서 오행간의 상승상모관계에 의하여 금과 수에 해당하는 페대장과 신방광이 상대적으로 약하다. 이하 토 금 수형도 똑같이 오행론에 입각하여 좋고 강한 장부와 약한 장부가 나타난다.
(3) 오행인의 각 형마다 특정 장부의 기능이 강하고 좋으므로 그에 따라서 행태적 특징도 다르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동양의학에서는 인간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과 질병 및 행태적 특징을 장부의 건강 및 질병과 연관하여 보고 있기 때문이다. 황제내경의 오행속성 분류표의 형태적 특징의 분류는 五常인 仁禮信義智을 목화토금수로 분류한 것을 근거로 오행인의 행태적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즉 목형은 장부중 목에 해당하는 간담의 기능이 좋고 크므로 그에 따라서 오상의 목에 해당하는 인적인 성격의 행태적 특징이 나타나 어질고 교육적이며 추진력이 있다. 화형은 장부중 화에 해당되는 심소장의 기능이 강하고 좋아서 화에 해당하는 체적인 성격과 행태적 특징이 나타나 예의바르고 정렬적이며 예술적이다. 토형은 장부중 토에 해당하는 비위장의 기능이 좋고 강하므로 오상중 토에 해당하는 신적인 성격과 행태적 특징이 나타나 신용있고 정확하며 중재능력이 있다. 금형은 장부중 금에 해당하는 폐대장의 기능이 강하고 커서 오상중 금에 관계된 의적인 성격과 행태적 특징이 나타나 의리가 있고 지도력이 있으며 획일적이다. 수형은 장부중 수에 관계된 신장방광의 기능이 상대적으로 좋고 강하므로 오상중 수에 해당되는 지적인 성격과 행태적 특징이 나타나 계획적이고 인내력과 근기성이 강하다.
(4) 또한 반대로 각 오행인의 형태를 특징 지우는 장부가 병적으로 되면 오지와 오성에 해당되는 성격과 행태적 특징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2) 오행인 상호간의 관계
오행인 상호간의 인간관계는 앞의 오행인의 개념과 오행간의 관계를 적용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원래 오행론의 유용성과 그 의미는 오행간의 相生相剋관계에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오행이 상생하지도 상극하지도 않는다면 아무런 작용이 없어 있으나마나한 것에 불과하므로, 오행은 생극작용을 통해서 크게는 천도가 운행하고 일월성진과 사시가 순환하며 땅에 있는 만물이 생장사멸하는등 모든 변화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점에서 오행론은 오행간의 상생상극의 상호작용이 대단히 중요하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오행인의 인간관계는 생리적으로 또는 자연발생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의 인간관계이지 이해관계나 사회적 성적인 요인에 의한 인간관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오행인간의 관계는 정상적인 관계와 조건하에서는 상생상극현상으로 오행인간의 균형이 이루어졌다고 볼수 있다. 그러나 어떠한 요인에 의하여 오행중의 어느하나가 지나치게 월등 하거나 부족내지는 모자랄때는 오행인간의 정상적인 상생상극관계가 깨져서 비정상적인 관계인 相乘相侮현상이 나타나게 된다는 것이다.
(1) 相生관계
① 상생관계란 오행인 상호간의 관계가 상호 자생 조장 및 친화관계 또는 한 오행이 다른 오행을 살려주는 곤계를 의미한다. 다시말하면 한 오행인이 다른 오행인에게 호감을 갖고 친해지고 가까이하고 싶어하며 잘 되도록 도와 주고자하는 인간관게를 의미한다고 볼수 있다. 이것은 서로 좋아하는것끼리 돕고 화목하게 지내고자 하는 것을 의미한다.
② 예를들면 목형인과 화형인 간의 상생관계는 목형인은 화형인을 생해주고 화형인은 목형으로부터 생을 받는 관계를 의미한다. 여기에서 생해주고 생을 받는다는 것은, 호감을 갖고 가까이 하고싶고 도와주고 싶은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행위는 생해준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를 싫어하지 않고 기꺼이 받아들이는 소극적 수동적인 태도는 생을 받는다는 것과 같다. 즉 호감을 갖고 도와주고자 하는 것은 생해주고를 의미하고 남의 호의를 기꺼이 받아드리는 것은 생을 받는다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하의 다른 오행인 간의 상생관계도 이상과 같이 동일하다
③ 결국 상생관계의 인간상호간의 관계는 서로 호감을 갖고 가까이 하고 싶고 도와주고 친해지고자하는 마음이 생기고 이를 기꺼이 받아드리려는 인간관계를 나타낸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상생관계에 있는 사람들끼리는 서로 협조와 화합이 잘 이루어 진다는 것이다.
④ 이러한 오행인 간의 상생관게는 일방적인 것이 아니다. 즉 내가 남으로부터 생을 받기만 하는 것이 아니고 나는 또다른 타인에게 생을 준다는 것이다.
즉 예를들면 목형은 수형으로부터 생을 받지만 목형은 또한 화형에게 생을 준다. 이런점에서 볼 때 오행인 상호간의 관계는 일방적인 관계가 아니고 상호 주고받는 관계에 있다고 본다.
(2) 相剋관계
① 상생관계가 상호간의 자생 협조관계라면 상극관계란 상호간에 억제 제약하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즉 상생은 서로 생하게 주는 입장과 그러한 작용을 의미하며, 상극은 서로 제어하여 주종이 되는 입장과 그러한 작용을 의미한다. 다른말로 “성이 맞는다” “맞지 않는다” 하는것도 오행의 상생상극이라는 조합의 원리다.
② 이런점에서 볼 때 상극은 인간상호간의 서로 미워하고 싫어하므로 박해한다는 뜻이며, 갈등 불화관게를 나타낸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면 극을 하는 자는 상대방을 괜히 만만하고 시원찮아 가볍게 지배 할 수 있는 것을 보는 반면에, 극을 받는 자는 괜히 상대방의 앞에가면 기가죽고 주눅이 드는 것 같아서 싫고 기피하고 싶어진다는 것이다.
(3) 相乘관계
① 오행인 상호간의 상승관계란 오행인 상호간의 상극관계에서 극을하는 어느 일행이 너무 강하여 정상적인 제약의 정도를 초과하여 지나치게 극제함으로써 균형관계가 깨진 것을 의미한다.
② 원래 상극이라는 것은 정상적인 오행인간의 제약과 억제를 의미한다. 예를들어 말하면 목형이 토형을 극하는 것은 자연적이고 본능적인 현상이다. 그런데 목형의 영향력이 지나치게 강하여 상대적으로 극을 당하는 입장에 있는 토형이 지나치게 극제당하여 정상적인 상극의 균형이 깨진 것을 의미한다.
③ 구체적으로 오행인 간의 상호관계에서 이러한 예를 들어보면 목형이 토형을 극하는 것은 본래 오행의 속성인데, 목형이 이러한 속성외에 다른면에서 토형보다 월등하게 우월적인 요인을 소유함으로써 토형은 목형에게 극을 당하는 본래의 속성 외에 또다른 요인에 의해서 더욱 극을 당해서 지나치게 심리적으로 쇠약해지는 것을 의미한다. 즉 목형은 토형을 극하는 것은 오행의 속성상 당연하다.
(4) 相侮관계
① 오행인 간의 상모관계란 극제되어야 할 쪽이 극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반대로 극을 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② 예를 들어 목형이 토형을 극하는 것이 오행의 본래의 속성상 정상적인 관계이나, 반대로 토형이 목형을 극제하는 비정상적인 상극현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동등한 조건하에서는 목이 토를 극제하는 것이 오행간의 정상적인 상극현상이나 동등한 조건이 깨지는 경우 이런 상모현상이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즉 토형이 지나치게 목형보다 여러 조건면에서 유리하거나 탁월한 조건을 갖추었을 때는 토형은 오히려 반대로 목형을 극제하는 현상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③ 구체적으로 말하면 대등한 조건과 상황하에서는 목형은 토형을 이기고 극제하는 것이 정상적인 오행인간의 관계이나, 토형이 목형보다 학력이나 체격 및 기타와 같은 면에서 월등하고 훌륭할 때 그러한 요인에 의해 목형이 반대로 토형에게 극을 당하여 심리적으로 열등의식과 같은 것을 느끼고 지배를 당하는 심리적 상황이 일어난다면 이를 상모관계라고 한다
3. 氣의 屬性에 의한 分類
1) 이 분류방법은 동양과학의 근본개념인 기의 개념에 입각하여 인간이 어떠한 속성의 기를 전수 받고 태어났느냐에 따라서 인간유형을 나타낸 것이다.
중극의 남송시대에 주희에 의하면, 기가 모여서 사물을 생성할 때 상이한 기를 부여받음으로써 상이한 성질의 인간이나 사물이 형성된다는 것이다. 즉 기의 맑음과 탁함 어두움과 밝음 순수함과 잡박함등 상이한 성분에 따라서 사람의 형태나 종류가 다르게 된다는 것이다.
2) 사람이 성인 현인 어리석음 사람 불초한 사람 등으로 나뉘는 것은 사람들이 부여받은 기에 맑고 탁함 어둡고 밝음의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다시말해 그것은 사람의 신분을 결정한다. 주자어류 59권에 보면 “기의 부여로부터 말한다면 인간과 사물에는 상이한 면이 있다”고 한 것은 인간과 사물의 구분도 역시 부여받은 기의 상이함 때문에 빚어지는 것이다. 더 나아가서 주희는 삶의 귀천이나 장수 촉명과 복록 등도 모두 부여받은 기의 청탁에 따라서 결정된다고 생각하였다.
3) 사람에서 성인이나 범인 지혜로운 자나 어리석은 자 현명한 자나 미련한 자 밝은 덕을 가진자나 어둡고 어리석은 자는 태어날 때 부여받은 기의 맑음과 탁한 아름다움과 추함으로말미암아 결정된다. 부여받은 청탁 선악의 기의 차이는 성인과 범인 지혜로운 자와 어리석은 자 현명한 자와 미련한 자 밝은 덕을 가진 자와 어둡고 어리석은 자의 정도와 비례한다. 이에 따라서 허형은 한걸음 더 나아가 “ 부귀 귀천 생사 수요 화복은 기에서 부여받은 것이다. 이것은 부여받은 기에 의해 결정된 운명이며 한번 정해지어 바꿀 수 없는 것이다”고 하였다. 부여받은 기는 사람의 도덕성품을 결정할 뿐만 아니라 사람의 부귀 궁달과 생사 수요를 결정한다. 즉 사람의 부귀 구천 화복 생명의 생사존망 수명의 장단은 모두 부여받은 기에서 결정되니 사람이 바꿀수 없는 것이다. 만약 허영이 부여받은 기로 사람의 타고난 자질을 설명할 때 합리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면, 그가 사람의 운명과 부여받은 기의 관계를 설명할 때는 이미 절대적 이라는 것이다.
4) 그러나 부여받은 기로 말미암아 결정된 사람의 지혜와 어리석음 현명함과 미련함은 변화할 수 있다. 이미 기의 맑음과 탁함 아름다움과 추함이 진화할 수 있다면 사람의 지혜와 어리석음 현명함과 미련함도 진화할 수 있다. 기를 잘 부양하고 함양한다면 어리석은 자가 지혜롭게 되고 미련한자가 현명하게 되고 어두운자가 밝은 덕을 가지게 된다. 교화를 통하여 그들로 하여금 끊임없이 원기와 호연지기를 확충하게 하여 내심의 기가 ‘천지의 기를 따르는’데에 까지 도달할 수있으며 어리석음에서 지혜로 미련함에서 현명함으로 어두운데서 밝은 덕으로 전화시킨다. 학교를 설립하고 교화를 베푼다면 이러한 목적에 도달할 수 있다.
4. 四象體質
사상체질은 주역의 一生二法의 음양의 분화법칙에 의해 태극에서 음양, 음양에서 사상, 사상에서 팔괘로 분화되는 것에 근거하여 사상이론에 입각하여 인간을 네가지의 유형으로 나눈 것이다. 즉 음양의 속성중 양의 속성이 가장 많은 태양인, 음의 속성이 가장 많은 태음인 음을 바탕으로 양의 속성을 가진 소양인, 그리고 양을 바탕으로 음의 속성을 가진 소음인으로 나누고 있다.
이러한 사상인의 구체적인 구별기준은 외모․심성․병증등 세가지 주요 지표로 구별한다. 그리고 한의학적으로는 장부허실면에서 천부적으로 각기 다르게 태어났다는 것이다. 즉 태양인은 폐태간소의 특징이 있고, 태음인은 반대로 간대폐소인이며, 소양인은 비대신소이며, 소음인은 신대비소의 특징을 가지고 있어서 그에따라 질병이나 행태적 특징도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이다. 물론 복잡다양한 인간의 기질을 단지 네가지로 구분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며 좀 모순된 것처럼 보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사상의학의 창시자 이제마선생 자신의 오랜 경험과 연구․임상적 체험․통계 등을 토대로 사람의 체질에 따라 독특한 기질이 있음을 발견해냈다. 체질에 따른 기질적 특성의 분류는 단순히 분류로서만 그치는 것이 아니다. 이 같은 기질적 특성의 분류는 곧 그 사람의 체질을 파악하는데 있어 중요한 자료가 된다. 즉 한방에서는 환자의 기질적 특성을 통해 환자의 체질과 심리상태를 알아내는 데에 참고로 하고 이를 다시 약재나 음식의 선택 신체 장기의 특성파악 치료 등에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행태적 특징과 성격을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1) 太陽人
태양인은 肺實肝虛한 체질로서 목덜미의 기운이 왕성하고 상부 목덜미가 발달되어 있다. 또한 머리가 크고 둥근 편이며 특히 뒷머리가 발달된 것을 불 수 있다. 보통 이마가 넓고 하관이 빨다. 또 눈이 작고 눈에는 광채가 있다. 살이 肥厚하지 않고 대체적으로 몸은 마른편이다. 그러나 상체가 실한 반면 하체가 약해 보인다.
성격적 특징으로는 태양인은 과단성 진취성이 강하며 목표에 대한 집념이 강하다. 또한 머리가 아주 뛰어나며 창의력이 있어 남들이 미처 생각해 내지 못한 것을 잘 생각해 낸다. 재간은 사고적이나 계획성이 적다.
2) 太陰人
태음인은 肝實肺虛한 체질로서 선천적으로 간의 기능이 좋은 반면 폐의 기능이 약한 편이다. 따라서 간부인 허리가 발달되고 간부인 상부 목덜미가 약하다. 또한 上焦 허하므로 다른 체질에 비해 심장이 약하다. 그래서 태음인에게는 가슴이 뛰고 울렁거리는 증세가 있다. 태음인은 원래 대륙성 체질을 타고났기 때문에 사상인 중에서 체격이 가장 큰 편이다. 대체로 근육과 골격의 발육이 좋으며 굵다. 체력도 상당히 좋은 편이다. 보통 키가 크며 몸이 비대한 사람이 많다. 특히 손발이 큰 편이며 허리 둘레의 자세가 왕성하고 허리가 굵은 편이다. 배가 불룩 나온 사람도 많이 볼 수 있다.
3) 少陽人
소양인은 脾胃의 기능이 왕성하고 신장의 기능이 약한 체질이다. 따라서 비부인 흉곽이 발달되고 신부인 엉덩이가 약하다. 또한 신장의 예속기관인 방광도 약한 편이다. 외모로는 가슴 주위가 발달해 있고 하체 특히 다리가 약해 보인다. 태양인과 마찬가지로 상체가 실하고 하체가 약하다고 할 수 있다. 골격은 대체로 가는 편인데 골격 중에서도 특히 다리가 가늘다. 따라서 자세가 곧고 바르기는 하나 안정감이 없어 보인다. 머리는 앞뒤가 나오거나 둥근 편이며 얼굴 표정은 명량하다. 눈이 반사적이어서 쏘아보는 듯한 느낌이 든다. 턱은 뾰족한 편이고 입은 과히 크지 않으며 입술은 얇다. 피부는 흰 편이나 윤기가 적고 땀이 별로 없다. 항상 마음이 조급하고 속에서 열화가 끓어올라 찬 음식이나 찬물을 좋아하며 행동이 경망스럽게 보일 때가 많다.
소양인의 성격적 특징으로는 굳세고 날랜데 장점이 있고 일을 추진하는 재간이 능하다. 양인답게 강인함도 있고 적극성도 있어서 어떤 일을 착수하는데 어려워하지 않는다. 너무 앞뒤를 재다가 시기를 놓치거나 앞뒤를 다 재놓고도 못미더워서 주저주저하다 세월보내는 성격이 아니고 시작이 반이라는 태도로 쉽게 쉽게 일을 꾸민다.
4) 少陰人
소음인은 中焦․脾胃가 허약한 대신 신장과 방광 부위가 발달하여 상체보다는 하체가 실한 체질이다. 즉腎部인 엉덩이가 발달되고 비부인 흉곽이 협소하고 약하다. 이 점에 있어서는 소양인과 정반대인 셈이다. 體勢가 대체로 앞으로 굽은 모습이며 살과 근육이 비교적 적다. 피부는 부드럽고 땀이 많이 나지 않는다. 태음인과는 달리 겨울에도 손발이 잘 트지 않는다. 특히 미각이 발달되어 있으며 키는 대체로 작은편에 속한다. 상체보다는 하체가 실한 체질이기는 하지만 몸의 균형이 표준형으로 잘 잡힌 사람이 많다. 말할 때에는 조용하면서도 침착하며 목소리도 그다지 크지 않으며 속삭이듯 말한다.
소음인의 성격적 특징중 가장 특징적인 것은 유순하고 침착한데 장점이 있고 재간은 사람을 잘 조직하는데 능하다. 마음 씀씀이가 세심하고 부드러우므로 사람들을 주위에 모으는 데 유리하고 어떤 일을 하더라도 미리 작은 구석까지 살펴 계획적으로 하므로 그러한 재간이 나온다. 그런데 세심한 성격은 달리보면 또한 소심한 성격이거니와 별일이 아닌데도 조바심치고 불안해 한다. 항상 집안에 돌아와 있으려고만 하고 밖으로 나서려고 하지 않는다.
Ⅴ. 東洋學에서의 인간관의 상호관계
1. 인간모형은 동양과학의 가장 기본적인 개념인 氣의 개념과 陰陽 五行 사상 八卦理論에 입각해서 인간모형을 제시한 것이다. 첫째 이중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본질적인 인간모형은 기의 속성에 의한 분류이다. 인간이 태어나면서 우주의 어떠한 종류의 기를 부여받았느냐의 정도에 따라서 인간의 행태와 속성이 다르게 된다는 것이다. 이 모형은 인간을 우주삼라만상의 가장 기본적인 구성요소인 기의 개념에 입각하여 분류하였다는 점에서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속성을 나타낸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부여받은 기의 유형이 어떤 것이냐에 따라서 이차적으로는 오성을 나타낸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부여받은 기의 유형이 어떤것이냐에 따라서 이차적으로는 오행 사상 팔괘인으로 나누었다고 본다. 왜내하면 동양과학에서는 우주삼라만상을 기의 종류에 따라서 음양 오행 사상 팔괘로 나누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인간모형은 다른 모형인 사상 오행 팔괘인의 유형보다는 근본적이고 일차적인 분류형태라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이 모형의 특징은 가장 기본적이고 근본적인 기의 속성에 의해 분류하다 보니까 사상․오행․팔괘인의 인간형보다는 추상적이고 관념적이며 구별기준으로써 모호한 것이 특징이다.
2. 동양과학의 가장 기본개념인 기의 개념은 음양 오행 사상 팔괘보다 기본적이고 근본적인 것이고 이러한 이론들은 기의 작용과 변화원리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현상을 나타낸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기의 속성에 의한 인간모형은 음양 사상 팔괘 오행인의 모형과 동일한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다만 기의 속성에 의한 인간모형은 인간의 기본적인 본질적 속성을 우주삼라만상의 가장 기본적인 물질적 단위인 기의 속성으로 나타낸 것이고 이것을 구체적으로 유형화하여 재분류한 것은 음양 사상 팔괘 오행인 이라고 볼 수 있다. 여기에서 음양인에 대한 개념은 본 논문에서는 소개하지 않았지만 동양과학에서 음양인이 없어서 소개하지 않은 것이 아니라 사실상 있지만 소개할 실익이 없기 때문에 소개하지 않았을 뿐이다. 왜냐하면 음양인은 인간을 크게 두가지로 분류하여 음인 양인으로 나누어 구체성과 정밀성이 적기 때문이다. 음양인을 보다 구체적이고 정밀하게 재분류한 것이 사상인과 오행인이므로 사실상 오행인과 사상인속에 음양인이 내포되 있다고 본다.
이 이론의 특이한점은 인간의 분류유형을 인간이 우주로부터 품부받은 기의 속성이 무엇이냐에 따라서 인간의 선악 덕성 이지적인 소유정도가 다르다는 것이다. 이는 다른 인간모형이 주로 인간의 심리적 성격과 행태적 관점에서 보았다는 점에서 다르다. 그리고 이 이론에서는 인간을 여러 유형으로 분류하는 것 뿐만 아니라 각 유형간의 타나고 선악과 덕성 및 이지적인 것의 정도를 氣修鍊과 같은 교육(교화)를 틍해서 개선 내지는 진화 발전 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이 점은 사상인 오행인 팔괘인 이론에서 찾아 볼 수 없는 점이다.
3. 주역팔괘인은 주역팔괘의 각 괘의 속성에 따라서 인간의 유형을 나타낸 것이다. 그런데 이 주역팔괘인은 주역팔괘를 오행으로 재분류 하여, 즉 이괘는 화, 설괘는 수, 태괘,건괘는 금, 손괘, 진괘는 목, 곤괘, 간괘는 토로 하고 오행의 성격에 입각하여 다섯종류의 각 인간형의 속성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는 그 다음 소개한 오행인의 속성과 거의 비슷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의 기의 속성에 의한 분류와 주역팔괘인은 그 나름데로의 동양과학의 기본개념과 이론에 입각하여 분류한 인간모형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본다. 다만 이두 모형은 분류의 가장 중요한 분류의 객관적 기준이 뚜렷하지 않고 모호하다는 점에서 현실적인 유용성인 면에서 문제가 있다. 특히 기의 속성에 의해 분류한 이론은 거의 각 유형의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특징만 고려하여 나누었지 경험적이고 객관적으로 분별할 수 있는 기준은 거의 제시하지 않고 있다. 그리고 팔괘인도 앞의 모형 보다는 구체적으로 어느정도 객관적인 식별기준으로써의 행태적 특성과 외형적 특징을 나타내고 있으나 구체적이고 정밀 하지는 못하다.
4. 오행인은 인간의 유형을 인간의 성격적 형태적 외형적 특징과 동양의학이론의 기본인 장부론에 입각하여 다섯가지 유형으로 나누고 있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즉 인간을 목․화․토․금․수형으로 나누고 각 형마다 성격적 행태적 외형적 한의학의 체질적 특징을 오행론에 입각하여 상호 연관하여 설명하고 있다. 즉 황제내경의 오행속성론에 입각하여 오행인 각각의 행태적 외형적 체질적특징을 오색 오상 오정 오음 오지 오형 및 오장과 상호 연관시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오행인의 가장 특징중의 특징은 인간의 체질이나 성격 외형적 특징들을 모두 동양의학의 중심개념인 장부를 중심으로 해서 유기적으로 연관시켜 나타내고 있다는 것이다. 즉 각 다섯가지의 인간 유형에 따라서 가장 좋고 강한 장부의 종류가 다르게 나타나고 그에 따라서 행태적 성격의 외형적 특징이 다르다는 것이다. 여기서 성격적 행태적 외형적 특징은 그냥 나타나는 것이 아니고 각 형에 따라서 어느 장부가 좋고 강한가의 정도에 연관하여 체질적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즉 예를들면 목형은 肝膽의 기능이 가장 좋고 강하기 때문에 행태적으로 착하고 어질며 추진력이 있으며 성격적으로는 남 잘되게 하는 일에 맞고 외형적으로는 얼굴이 길고 옆구리가 길다는 것이다. 이러한 모든 특징은 간담이라는 장부와 생리적으로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나타나는 특징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나머지 형도 마찬가지로 장부와 연관하여 설명하고 있다. 어것은 동양의학적인 이론에 입각한 의학적 근거에 압각하여 오행인을 분류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동양의학에서는 인간의 모든 생리와 병리적인 현상을 장부와 연관하여 설명하는 의학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오행인의 분류기준인 장부를 중심으로 분류하였다는 점에서 볼 때 이것은 동양의학의 기본 이론인 장상론에 입각하여 분류하였기 때문에 오행인은 동양의학적인 인간모형이라고도 볼 수 있다.
그리고 오행인이 장부론에 입각하여 분류하였으므로 장부오행도에 입각하여 볼 때 오행인의 각 형에 따라서 어떤 장부가 좋고 강한가를 알며는 반대로 어떤 장부가 가장 나쁘고 약한가를 알 수 있다. 즉 목형은 간담의 기능이 좋고 강한 대신에 반대로 목승토현상으로 비위장 목모금현상으로 폐대장이 가장 나쁘고 이계통의 병이 많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화형은 심소장의 기능이 가장 좋고 강한 것에 반대로 화승금 현상으로 폐대장이 그리고 화모금 현상으로 신장 방광이 가장 약하고 나빠서 이 계통의 병이 많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그리고 다른형도 이와같이 장부오행도에 입각하여 장부의 강하고 약한 것을 알 수 있으며 그에 따라서 어떤 계통의 병이 많이 나타나는가도 알 수 있다.
결국 오행인의 인간모형은 각 형마다 어느 장부가 좋고 강한가에 따라서 반대로 장부오행의 장부간의 관계를 생극제화의 이론에 관점에서 어느장부가 가장약하고 나쁜가를 알수 있으며 그에 따라서 어떠한 병증이 많이 나타나는가를 알 수 있다는 점에서 의학적으로도 대단히 의미있고 유용한 이론이라고 볼 수 있다.
이상 서술한 오행인의 행태적 성격적 체질적 특징은 의학적으로 중요하고 의미가 있을 뿐만 아니라 오행인의 상호간의 인간관계론과 인간의 적성과 소질파악면에서도 매우 중요하고 의미가 있다. 즉 오행인 상호간의 생극제화의 관계는 오행인의 단순한 의학적 유용성 뿐만 아니라 사회과학적 측면에서 볼 때 대단히 중요하고 의미가 있다고 본다. 오행인의 상호간의 관계는 인간의 사회생활에 있어서 인간간의 상호관계를 이해하고 설명 하는데 유용 하다고 본다. 특히 행정학이나 경영학적 측면에서 조직내의 인간관리나 인사제도에 유용한 이론 이라고 본다. 즉 오행인간의 상생 상극 상승 상모관계는 안간간의 갈등과 친화관계 협력과 화합 및 조직의 팀웍과 같은 인간간에 빚어지는 현상을 나름데로 설명 할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그에 입각한 관리전략 및 인간관리 전략을 세울 수 있다고 본다. 그 뿐만 아니라 오행인의 성격과 행태적 적성적 측면에서도 볼 때 각 형에 따른 적절한 업무배당을 할 수 있는 이론 이라고도 본다.
5. 사상체질은 주역의 일생이법의 음양의 분화법칙에 따라서 인간을 사상 즉 태양인 태음인 소양인 소음인으로 나누고 이들 각 유형에 따라서 행태 성격 장부의 크고 작은 등의 특징을 나타낸 이론이다. 태양인은 폐대간소, 태음인은 폐소간대, 소양인은 비대신소, 소음인은 비소신대의 오장의 기능상의 대소의 특징이 있다. 각 체질에 따라서 오장의 기능상에 차이로 인하여 행태 성격 질병과 건강의 종류가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각 체질유형마다 오장의 대소의 차이를 나타낸 것은 동양의학의 장부오행도 이론에서 볼 때 타당하다.
그런데 오장중 심장의 대소에 관련된 체질유형이 없는 것이 장부오행도의 관점에서 볼 때 의문시 된다. 즉 의학적으로 인간의 장부는 육장육부가 있으며 이중에서 오장이 중심적인 기능을 한다. 그렇다면 오장을 중심으로 인간의 체질유형을 나누려고 하면 오장에 모두 관련된 체질유형으로 나타내야 함에도 불구하고 사상으로만 나누다 보니까 오장중의 심장을 빼놓고 나머지 네장과 관련된 체질유형만 나타낸 것은 타당치 않다고 본다. 주역의 이론에 따라서 철학적으로는 사상을 나눌 수 있으나 인체의 질병은 오장 중심이기 때문에 오장 중심으로 설명하지 않으면 안된다.
6. 결국 사상체질은 체질에 따라서 인간의 행태 성격 질병과 건강이 다르고 따라서 구별기준으로는 자세 몸의 행태 기호 성격등으로 구분하는 것은 대인적 성정파악에는 바람직할지는 모르나 한의학적으로 체질 판단을 하여 치료처방을 하는데는 문제가 많다는 것이다. 그리고 대인관계에서도 사상체질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객관적인 행태적 외형적 기준이 있어야 하는데 그러한 기준이 뚜렷하지 않아서 분별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그런점에서 대인관계의 활용성 유용성면에서는 문제가 많다. 또한 각 체질에 따라 행태나 성격적 특징도 장부와 연관해 보면 잘 맞지않는 부분이 있다. 황제내경의 오행속성표에 의해 볼 때 오장과 관련된 행태나 성격적 특징은 五常, 五情, 五志, 五聲과 체계있게 연관되어 있는데 그렇지 않은 것이 있다. 예를 들면 소양인은 비위장의 기능이 왕성하고 좋은 것으로 나타내는데 비위장의 기능과 관련된 행태 성격적 특징은 황제내경에서는 오상중 신과 관련이 있다고 하는데 비해, 실제 사상체질에서는 그러한 행태적 특징의 언급이 없고, 활동적이고 일만 벌리고 산만하며 추진력이 있으며 끝마무리가 서툴다는 등으로 나타내고 있다.
7. 그리고 사상체질은 한의학적인 질병진단과 치료를 위해 인간을 체질에 따라 네가지로 분류한 것이므로 사상인 상호간의 관계에 대한 이론이 없다. 그러므로 사회과학에서 유용성면에서 오행인 이론 보다는 한계가 있다고 본다. 다만 각 체질에 따른 행태 성격적 특징이 다르기 때문에 이에 입각한 관리전략 또는 업무배당등에는 유용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8. 지금까지 동양과학적 인간모형의 네가지를 특징과 성격 그리고 유용성과 의미를 살펴 보았다. 이들중 동양과학의 가장 기본적인 인간모형인 기의 속성에 의한 모형과 주역팔괘인은 분류를 위한 분류로써 객관적이고 외형적 분류기준이 없어 실제 활용면에서는 의미가 없다고 본다. 이에 비해 오행인과 사상체질은 동양의학적 체질의 구별기준에 근거하여 각 체질의 행태 성격 및 외모적 특징을 장부와 체계적으로 연관시켜 분류한 이론이므로 의학적으로도 의미가 있을 뿐만 아니라 사회과학적 입장에서 인간은 이해하고 설명하여 사회과학적으로 활용하는데 유용한 이론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구별할 수 있는 기준이 비교적 외형적으로 객관적이다. 특히 오행인이 사상체질보다 더 객관적이다.
특히 오행인의 이론은 동양의학적인 의미 뿐만 아니라 오행인 상호간의 관계를 오행론의 생극제화론에 입각하여 오행인 상호간의 인간관계를 설명 한다는데 사회과학적으로도 더욱 의미가 있다. 그런데 사상체질은 인간을 의학적 체질에 의해서 네가지 모형으로 나누고 있지만 그들 사상인 상호간의 관계에 대한 이론은 없다. 그런점에서는 오해인의 이론이 조직속의 복잡한 인간관계를 이해하여 사회과학 특히 행정학 경영학의 인간관리 전략과 인사제도에 활용하는데 더욱 유용하다고 본다.
9. 그리고 주역팔괘인과 오행인과의 관계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주역팔괘를 오행으로 재분류하여 오행론적으로 팔괘인의 행태 성격 외형적 특징을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오행인에서와 같이 그들 각각의 특징적인 것들이 장부와 연관되어 나타나는 것인지에 대한 설명이 전혀 없다. 그런점에서 팔괘인을 오행론적으로 분류한 것은 분류를 위한 재분류이지 오행인과 같이 체질적으로 장부의 대소에 따라서 나타나는 특징적인 것이 아니다. 그러나 팔괘인을 오행인으로 재분류하여 행태와 성격 및 외형적 특징을 서술한 것은 오행인의 각각의 유형과 비슷한 것은 사실이다.
Ⅵ. 結語
동양학의 기본이 되는 음양오행론은 동양의학에서는 장부간의 관계를 음양오행론의 이론적 틀로 설명하고 있으며, 인간의 신체는 소우주이고 자연은 대우주이므로 대우주에 적용되는 음양오행론은 소우주인 인간의 장부와 각 신체기관들간의 관계를 설명하는데 그대로 적용된다 할수 있겠다.
따라서 음양오행론은 동양의학 뿐만 아니라, 동양의 정치 사회, 인생과 자연 등의 모든 분야에 광범위하게 적용되는 일반이론인 것이다
그밖의 동양과학은 동양과학 나름의 개념과 이론이 체계화된 과학적 지식이다. 따라서 동양과학적 지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동양과학적 개념과 이론 및 접근법을 이해하여 동양과학적 마인드의 관점에서 고찰하여야 한다. 그런점에서 볼 때 동양과학의 평가는 서양과학적 시각과 잣대로 일방적으로 하여서는 타당성이 없다고 본다. 그리고 과학적 지식의 평가는 인식의 수단적 요소인 객관성과 재현성의 기준으로 보기 보다는 현실적합성의 관점에서 보는 것이 더 바람직 하다고 본다.
동양과학은 동양과학 나름의 개념과 이론 및 접근방법으로 우주삼라만상의 사물을 이해하고 설명하고자 하는 거대한 이론체계이며 이는 서양과학적 이론체계와 전혀 다르다고 본다. 동양과학의 가장 큰 특징은 접근방법으로써 우주론적 관점에서 개개의 사물을 종합적이고 유기체적이며 정신물질 일원론적으로 설명하는데 있다고 본다. 그리고 동양과학의 이론체계의 특징은 많지 않은 몇 개의 개념과 이론으로 모든 현상을 설명하고 있다는데 있다. 즉 동양과학의 가장 기본적인 개념과 이론은 우주삼라만상의 모든 사물의 존재와 변화현상을 기의 작용과 변화원리로 보고 있다는데 있다. 이러한 기의 작용과 변화현상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개념과 이론을 보면 태극 음양 오행 사상 팔괘이론이 거의 전부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동양과학 이론체계에 입각하여 인간을 보는 시각과 이론으로는 기의 속성에 입각한 인간모형, 五行人, 四象人, 陰陽人, 八卦人, 運氣體質, 三一體質등이 있다. 이들 인간모형들은 인간을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매우 구체적이고 체질의학적으로 매우 의미가 있는 것도 있다. 특히 오행인의 이론은 동양의학의 최고 권위서인 황제내경에 근거한 체질의학적 이론으로써 뿐만 아니라 인간의 행태와 성격을 이해하고 설명하는데도 훌륭한 이론이다. 더욱이 오행론의 생극제화론에 입각하여 인간상호간의 인간관계를 설명하는 데 매우 유용한 이론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각 유형별로 구별할 수 있는 외형적 객관적 기준도 있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있다고 본다. 체질의학적 관점에서 볼 때 사상체질도 그 나름의 의미가 있고 현재 제도권의 한의학자들에 의해 활발히 의학적으로 활용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또한 사상체질은 의학적 의미뿐만 아니라 인간의 행태와 적성 성격 기호 성정을 파악하는데도 중요한 이론이라고 볼 수 있다. 다만 외형적으로 구별할 수 있는 객관적 기준과 방법이 확실치 않은 것이 문제다.
이러한 동양과학적 인간모형들은 단순한 의학적 유용성 뿐만 아니라 사회과학적 특히 행정학 경영학에서도 유용하다고 볼 수 있다. 사회과학이라는 학문이 인간으로 구성된 사회현상을 대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므로 그 사회현상을 구성하고 있는 인간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하는 이론은 모두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는 이러한 이론들이 거의 서양과학적 인간이론에 입각한 것이 지배적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동양과학적 시각에서 보는 인간모형은 기존의 것과 전혀 다른 이론이고, 그래서 서양과학적으로 볼 수 없는 부분을 볼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둘째, 행정현상을 설명하고 이해하는데 인간행태와 성격이 중요한 변수이기 때문에 동양과학적 인간관은 유용하다고 본다. 셋째, 특히 오행인의 인간관계론인 생극제화론은 조직 속의 인간관리와 조직설계에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본다. 넷째, 각 인간형의 적성 파악에 따라서 업무배당에 관련된 문제에도 의미가 있다고 본다.
동양학에서의 인간모형은 어떤 조직 속의 업무분담과 역할기능면에서 매우 유용하고 의미가 있다고 할수 있으며, 이러한 적성과 소질적인 특성의 관점에서 인간을 파악하고 적용한다면 동양학의 인간관은 서양의 인간관계론과 비교하여 매우 현실적이고 어쩌면 더 과학적이라 할 수 있겠다.
'블러그 주인방 > 박풍규 논문(행정학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방자치와 행정서비스 혁신 (0) | 2006.09.12 |
---|---|
발전행정이론 (0) | 2006.09.12 |
국내외 정책갈등 성공 실패사례 (0) | 2006.09.12 |
지방행정개혁의 이념과 지방정부의 혁신방향 (0) | 2006.09.12 |
부동산 보유과세 강화정책 (0) | 2006.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