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관련/건강

[스크랩] 우리가 자주 먹는 가공식품에 관한 성분분석

박풍규 2010. 11. 25. 16:42

수년간 가공식품만 먹다가 20대 초반에 죽음에까지 이른 영국의 한 청년,

과자, 아이스크림을 무지 좋아하면서 밥보다 즐겨먹으며 아토피가 생겼다는 학생

남 이야기가 아니랍니다...

 

보고 있노라니,, 억울해집니다.

몸에 좋다는 자일리톨을 첨가했다며, 양치후에도 씹으라고 하여 열씸히 씹고,

피곤해하면 힘내라고 박카스~ 주면 선물받아 "고마워ㅠ.ㅜ" 먹었고,

'정'이라는 트레이드마크로 학원가는 길에 든든하게 해 주었던 초코파이~~

 

무심결에 먹게되는 각종 화학물질 덩어리에 내 몸 세포들은 아우성쳤겠구먼~

이젠 음식만 먹어야지.

세포들의 손해배상청구를 모른척 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대처해가야합니다.

 

 

◇우리가 자주 먹는 가공식품에 관한 성분분석◇


초코파이의 성분

1.정제가공유지(모조 초콜릿)

-준초콜릿이라고 불린다. 코코아버터를 쓰지 않고 코코아 버터를 짜내고 난 코코아 파우더만 소량 들어있다. 모조초콜릿에는 천연 코코아버터대신 화학처리를 한 유지가 사용된다. 제품포장지에 포기되어 있는 이른바 <정제가공유지>가 그것이다.

-정제가공유지는 수소첨가반응의 산물로서 다량의 트랜스지방산(유해지방산)을 함유하고 있다.

-제품에 ‘초콜릿가공품’이라고 표기되어 있는 경우 모조초콜릿을 사용한다고 보면 된다.

2.쇼트닝

-내부의 파이조직을 형성한다. 다량의 트랜스지방산을 함유한다

-스펀지 조직 형성을 위해 팽창제등 다량의 첨가물을 함유한다.

3. 머시멜로크림

-정제당류 덩어리로서 미생물 번식이 불가능하다.


캔디의 성분

-정제물엿(정제당과 함께 ‘과잉행동장애유발’ 의심물질)을 사용한다

-유화제와 수소첨가된 경화유를 사용한다.

-맛을 위해 산미료나 조미료, 향료등의 첨가물을 사용한다.

-색택을 좋게 하기 위해 색료를 사용한다.


껌의 성분

정제당 70%, 첨가물 30%로 이루어진다.

1. 껌 베이스

-요새는 대부분 자연에서 나오는 고무인 치클을 사용하지 않고 합성베이스를 사용한다. 이 합성베이스에 관해서는 연구가 덜 되어 있으며 안정성에 불확실한 점이 많다.

2. 첨가물

- 향료, 색소, 유화제, 연화제, 가소제, 향 보조제 등 검증이 되지 않은 물질을 다량함유 하고 있으며 그중에는 발암물질로 의심되는 첨가물이 들어있을 가능성도 있다.

- 이러한 첨가물은 생체내에서 1조분의 1농도인 ppt단위에서도 활성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하루에 세 번 껌을 씹을 경우 생체 호르몬을 교란시킬 수 있는 농도로 향료를 섭취하는 것이 된다.


아이스크림의 성분

주원료는 당류와 지방, 그리고 물이다. 또한 여기서 지방(기름)과 물을 혼합하기 위해 엄청난 양의 유화제(계면활성제)를 사용한다.

1. 유화제

-발암물질을 비롯한 각종 유해성분들이 체액에 잘 섞이도록 돕는다.

2. 당과 지방

- 두 가지 성분을 함께 섭취할 경우 당, 지방 연관효과(sugar-fat connection)로 인해 ‘대사기능악화와 콜레스테롤 상승 기작이 더욱 촉발된다.

- 탄수화물(당)과 지방이 함께 들어있는 식품은 체내의 지방축적효소를 더욱 활성화시킨다.


패스트푸드의 성분

첨가물이 다량 함유된 고칼로리 식품

1. 감자튀김

- 감자를 찌거나 구운경우에 비해 5배나 높은 칼로리를 포함한다.

- 쇼트닝을 사용하여 인체에 유해한 트랜스지방산을 다량 포함하고 있다.

2. 가공치즈와 버터

- 우유를 가공하여 치즈를 만들며 이때 유화제, 조미료, 색소, 보존료(방부제)를 넣는다.

- 천연버터가 아닌 첨가물을 뒤섞어 만든 버터, 일명 축산물가공품이라고 한다.

3. 햄과 소시지

- 맛과 색, 보존성 강화를 위해 아질산나트륨(발암물질이며 동시에 독극물)을 함유한다.

- 청산가리의 치사량은 0.15그램이며 아질산나트륨의 치사량은 0.18~2.5그램이다.

- 아질산나트륨은 육류에 들어있는 ‘아민’성분과 결합하여 니트로사민을 만든다.

- 체중30kg인 어린아이의 경우 니트로사민 0.009그램으로도 암 발병이 가능하다.

- 보통 육가공품 2.6킬로그램안에 치사량에 해당하는 아질산나트륨이 들어있다.


바나나우유, 딸기우유를 비롯한 가공유의 성분

기본적으로 액상과당, 설탕을 비롯한 첨가물을 다량 함유한다.

1. 치자황색소

- 바나나우유에 포함, 치자 열매에서 추출하나 치자는 먹을 수 없는 과일이다.

- 일본 식품첨가물 평가일람에서 ‘위험등급 3등급’으로 분류되어 있다.

- 오랜 기간 섭취할 경우 장애가 생기며, 대량섭취하면 독성이 나타날 수 있다고 한다.

2. 카라기난

- 초코, 코코아우유에 사용, 코코아분말의 침전을 막는다.

- 일본의 식품첨가물평가일람에서 위험등급4급이며, 발암물질로 분류된다.

- 급성, 또는 만성독성물질이며 치자황색소보다 위험하다.


청량음료의 성분

모든 청량음료는 기본적으로 정제당을 포함하는 일명 액체사탕이다.

1. 콜라의 성분

- 인산: 정신건강을 위협하는 행동독리학상의 물질

- 캐러멜: 유전자에 손상을 가할 수 있는 물질로서 충치는 빙산의 일각이다.

2. 사이다의 성분

- 주원료가 정제당과 향료로서 콜라와 별반 다를 바 없다.

3. 기타 청량, 과즙 음료의 성분

- 농축과즙을 사용하며, 농축과정에서 영양분이 거의 파괴된다. 결국 껍데기만을 섭취한다.


건강 드링크제(박카스 등등)의 성분

1. 정제당(액상과당, 설탕)

- 보통 청량음료보다 더 많은 양의 정제당을 사용한다.

- 매년 8천톤에 가까운 정제당이 박카스 한 제품을 통해 소비자 입으로 들어간다.

2. 안식향산나트륨

- 소르빈산칼륨과 쌍벽을 이루는 대표적인 방부제

- 이 성분 5%가 함유된 사료로 4주간 사육시킨 쥐의 경우 신경과민, 요실금 등의 증상을 일으키며 사망하는 것이 확인됐다.

- 개를 대상으로 체중 1kg당 안식향산나트륨 1g을 250일간 투여하자 운동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고 간질성 경련을 일으키며 사망하는 것을 확인했다.

- 식품첨가물 평가일람에서 위험등급 4등급이며 ‘태아의 정상적인 발육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다고 한다.

- 안식향산나트륨이 들어있지 않은 드링크제품은 거의 없다.

 

라면(컵라면, 봉지라면)의 성분

주로 흰 밀가루와 다량의 첨가물 함유 

1. 탄수화물(당-설탕 등 정제당도 탄수화물에 포함)

- 면발성형 후 100˚C이상의 증숙과정 이후 150˚C이상의 유탕처리 과정을 거친다. 또한 소비자는 먹기전 100˚C끓는 물에서 삶는다.

- 탄수화물이 이러한 고온처리과정을 거치면서 분자구조가 약해지고 인체에 빠르게 흡수되어 혈당량을 급격히 상승시킨다.

- 결국 인슐린 분비세포에 타격을 가함으로써 당뇨병 발병 가능성을 높인다.

2. 첨가물

- 팽창제, 인공조미료, 색소 등 각종 첨가물을 함유한다.

출처 : 건강인하모친구
글쓴이 : 모닝스타☆ 원글보기
메모 :